전시과, 과전법, 직전법 고려 전시과 시정 전시과 경종 전현직 구분없이 지급, 인품 반영 개정 전시과 목종 전현직 구분없이 지급, 지급 규모 축소 경정 전시과 문종 현직에게만 지급, 지급 규모 대폭 축소. 향리에게 외역전, 하급 관리의 유족에게 구분전, 자식에게는 한인전 지급. 공음전이 지급되고 세습되기 시작하였다. 고려말 과전법 공양왕 전현직 구분없이 지급, 경기지역의 토지로 한정, 세습이 불가하나 수신전, 휼양전등의 명목으로 세습 가능 조선 직전법 세조 현직 관료에게만 지급, 수신전, 휼양전 회수 관수 관급제 성종 관료가 아닌 국가가 수조권을 행사해 이를 관료에게 지급 폐지 명종 녹봉만 지급함
수취제도 - 영정법, 균역법, 대동법, 호포법 영정법 작황에 따라 연분 9등법과 전분 6등법으로 징수하던 것을 인조 때 1결당 4두(최저)로 고정, 부족분 보충을 위해 수수료와 잡세를 부담시켜 크게 경감되지는 않았다. 균역법 (영조) 1년에 2필씩 내던 군포를 1필로 줄임 부족분은 선무군관이라는 명예 관직을 부여하여 군포를 납부하게 하고, 부족분은 어세, 염세, 선박세와 1결당 2말의 결작미 징수로 충당 대동법 공납의 폐단(방납)을 막기위해 공납 대신 쌀을 내게 함. 가호단위 징수에서 농지크기를 기준으로 부과. 광해군부터 100년에 걸처 확대 실시, 선혜청이 공인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조달. 비정기적인 별공과 진상은 남아있었다 호포법 흥선대원군 집권기(고종)에 양반까지 군포를 내게 함. 상민과 양반의 구..
[표]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자주 나오는 승려 신라 원효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화쟁사상-종파간의 대립을 완화하고자 함), 무애가, 나무아미타불(아미타 신앙, 극락왕생), 불교의 대중화 노력(정토종), 설총의 아버지 혜초 왕오천축국전(인도 기행문) –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보관중 의상 화엄 사상, 부석사, 관음 신앙(현세의 고난을 극복)보급, 화엄일승법계도 고려 의천 화엄종과 원효의 화쟁 사상을 바탕으로 교종 통합, 그 뒤 교관겸수를 주장하며 교종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고자 천태종 창시. 경전 주석서를 모아 교장 간행, 주전도감 설립에 관여 지눌 수선사(현 송광사) 결사, 정혜쌍수(선과 교를 함께 닦는다), 돈오점수(진리를 깨우친 후 꾸준한 실천 수행) 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하고자 함. 조계종..
한국사> [표] 고대국가, 초기 연맹왕국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한,진한,변한 (삼한) 정치 5부족 연맹체 왕(중앙)과 4개 부족(마가, 우가, 저가, 구가)이 지방(사출도)을 다스림. 왕은 세습이 아닌 선출로 세워진다. 5부족 연맹체, 왕과 각 부족의 대가들로 구성. 대가들은 사자, 조의, 선인과 같은 관리들을 거느림. 읍군, 삼로가 존재하는 군장국가 제정 분리 (신지, 읍차 : 정치적 지배자 천군 : 소도, 종교적 지배자) 사회 1책 12법 가(귀족)-호민(부유층)-하호(피지배층)-노비 로 구성 살인자는 사형에 처함 간음이나 투기하는 부인 또한 사형에 처한다. 범죄자의 경우 제가 회의를 통해 사형, 가족은 노비로 삼는다. 상무적 기풍, 사냥과 활쏘기 중시. 씨족 사회의 관습이 남아있다. 고조선의 유..
한국사> [표] 선사시대와 청동기, 철기 시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정치 모든 구성원이 평등함 잉여 생산물의 분배로 인한 계급의 발생 군장(족장)의 출현 군장 국가의 발생 고조선 성립(단군) 위만 조선 고조선 멸망 후 여러 고대 국가의 등장 사회 모계 중심 사회 부족 사회 (여러 씨족의 모임) (씨)족외혼 선민 사상 가부장제 고조선 : 8조법(가부장제, 사유재산, 화폐의 사용, 계급사회) 경제 수렵, 채집, 어로 수렵, 채집, 어로 활동 외 기초적인 농경, 목축 생산 경제로 전환 생산 경제 일부 저습지서 벼농사 시작 중국, 일본과의 교류 중계 무역 - 고조선 문화 주술 원시 종교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천신의 등장 도구 뗀석기 주먹도끼 간석기 조가비 탈 (치레걸이) 가락바퀴 청동기(무기, 제..